깊은 계곡, 울창한 숲, 맑은 물소리가 가슴을 탁 트이게 만들어

 

                                                                                                       매표소를 지나면 바로 안내판이 있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매표소를 지나면 바로 안내판이 있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과 충북 제천시 백운면의 경계인 해발 1,087m의 백운산 자락에 자리한 백운산자연휴양림은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인 원주시내에서 15분, 중앙-영동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남원주 IC에서 10분 거리에 위치한다. 원주-충주 간 19번 국도와도 연하여 있어 접근성이 좋아 원주시민뿐 아니라 외지인들도 많이 찾는 곳이다. 백운산 정상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계곡을 용수골이라 한다. 하류는 계곡물이 넓게 흐르고 수량이 많아 여름철 피서 유원지로 각광받고 있다.

                                                                            한여름이면 더위를 피해 탐방객들이 많이 찾아온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한여름이면 더위를 피해 탐방객들이 많이 찾아온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백운산자연휴양림 내에는 다양한 수종들이 분포하고 있다. 조림목과 천연활엽수가 적당히 혼재해서 아름다운 원경을 제공하며 진입로를 따라 휴양림까지는 1.7km에 걸쳐 병꽃나무와 산벚나무가 분포하여 만개 시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휴양림 내에는 금낭화, 매발톱, 노루귀 등 각양각색의 야생화가 철을 따라 꽃을 피우고 있다. 크지는 않아도 용의 전설이 서린 용소폭포도 시원한 소리와 함께 보는 이의 발걸음을 묶어두기에 충분하다.

                 천년 묵은 이무기가 용이 되어 승천하려다 빠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용소폭포(사진촬영 :윤지태 기자)
                 천년 묵은 이무기가 용이 되어 승천하려다 빠져 죽었다는 전설을 간직한 용소폭포(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지난 2006년 10월에 완공된 백운산자연휴양림의 숲은 대부분 천연림으로 자연스러운 경관을 자랑한다. 드문드문 사람이 직접 심은 나무들도 있지만 거의 자연적으로 씨가 떨어져 조성된 휴양림이다. 따라서 낙엽송이나 잣나무 등을 단일수종으로 심는 인공림에 비해 특용 활엽수, 참나무, 박달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나지가 없는 울창한 숲은 항상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고 햇빛을 효율적으로 가려 상수원을 원활하게 유지하므로 1년 내내 계곡물이 줄지 않는다.

                     깊은 계곡 온갖 수종의 수목과 계곡물이 있어 동물들이 서식하기도 안성맞춤이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깊은 계곡 온갖 수종의 수목과 계곡물이 있어 동물들이 서식하기도 안성맞춤이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야생동물이 먹을 수 있는 먹이들이 풍부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동물들 또한 자연상태 그대로 서식하고 있다. 아침 일찍 산책을 나서면 고라니, 노루 등을 만날 수도 있고, 산토끼와 멧돼지의 발자국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뻐꾸기, 딱따구리 등 도시에서는 들을 수 없는 야생 조류들의 아련한 울음소리는 어른들의 옛추억을 자극하고, 아이들은 처음 경험하는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연립동 숙소(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연립동 숙소(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요즘과 같이 코로나19로 인해 심신이 위축되어 있을 때 1박 정도 하면서 휴양할 수 있도록 숙박시설도 갖추고 있다. 연립동 A, B, C 3개동에 15개의 객실과 숲속 수련장에 3개의 객실을 운영하고 있다. 예약은 인터넷으로 해야 한다.

                                                                                                                                                 목공예 체험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목공예 체험실(사진촬영 : 윤지태 기자)

 숙박을 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산책로와 편의시설인 야외식탁이 있어 개인이 그릴 등을 준비하면 고기도 구울 수 있고, 산림관리 전문가로부터 숲해설을 들을 수도 있다. 야외공연장에서는 소규모 공연도 가능하며 목공예 체험실을 통해 자기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색다른 체험도 할 수 있다.

문의 : 국립백운산자연휴양림(033-766-1063 / 매주 화요일 휴무)

저작권자 © 투데이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