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공정채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공모 시작(8.10.~9.15.)
-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공동주최, 민간부문 포상규모 확대(포상 '22. 8점 → '23.12점)
- ▴100만원 상당의 상금 수여 및 사례 홍보 ▴「청년친화 강소기업」 선정 시 우대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직무대행 김영중)은 8.10.(목)부터 9.15.(금)까지 「2023년 공정채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 고용노동부 누리집(www.moel.go.kr) 내 공고문 참조
▪(주최) 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교육부‧행정안전부‧인사혁신처‧국민권익위원회‧한국경영자총협회‧중소기업중앙회
▪(주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시상규모) 고용노동부 장관상 등 포상 총 22점(▴공공 10점 ▴민간 12점)
▪(일정) 접수(8.10.~9.15.) → 서류심사(10.6.) → 발표(PT)심사(10.13.) → 시상식(10.27.) ※ 변동 가능
이번 경진대회는 “공정한 채용기회 보장(국정과제)”과 관련한 현장 우수 실천사례를 발굴‧포상함으로써 공정채용 문화 확산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최된다. 지난해에는 불합격자에게 면접 평가표를 제공해 참고할 수 있게 한 ‘원티드랩’, 채용공고 알리미 서비스를 도입해 구직자 편의성을 높인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20개 기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는 더욱 높아진 기업들의 관심을 반영해 민간부문 포상규모를 확대(포상 8점 → 12점)하는 한편, 지난해보다 일정을 앞당겨(시상식 12월 → 10월), 기업들이 연말에 내년도 채용계획 수립 시 수상 사례들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새롭게 공동 주최기관으로 참여한다.
이번 대회는 공공․민간 모두 제한없이 참여가 가능하며, 고용노동부장관상 등 수상작은 1차 서류-2차 발표(PT)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된다. 한편 민간부문 수상작은 100만원 상당의 상금과 함께, 연말 「’24년 청년친화 강소기업」 선정심사 시 가점 등 우대를 받을 수 있다.
* 참여방법은 모집기간 내 전자결재(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 또는 전자우편(2019098@hrdkorea.or.kr)으로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이현옥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정책관은 “올해 도입된 「공정채용 컨설팅」 모집의 조기마감, 공정채용 콘텐츠에 달린 많은 응원댓글(고용노동부 유튜브 「노동개혁 정식사전」 등) 등 공정채용에 대한 기업과 청년들의 관심과 기대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사례를 적극 발굴하는 한편, 기업들이 이를 채용과정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덧붙였다.
「2023년 공정채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개요
참가 대상은 민간기업, 공공기관‧지방공기업‧기타 공직유관단체 등 ’23년까지 채용을 실시하고 공정채용을 위해 노력한 모든 기업・기관
선정 기준은 “투명”, “능력중심”, “청년 구직자 공감” 등 채용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개선 노력을 통하여 성과를 창출한 사례
* (투명) 채용 과정에서 구직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제공하려는 노력 등
(능력중심) 구직자의 직무역량과 발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 등
(공감) 구직자 의견을 수렴‧반영하는 등 청년이 공감하는 채용과정을 만들기 위한 노력 등
(신청) ’23.8.10.(목) ~ 9.15.(금) 18:00
- 제출서류를 첨부해 전자결재 또는 전자우편으로 제출
* (전자결재)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 (전자우편) 2019098@hrdkorea.or.kr
(심사) 1차 서류심사(10.6.) → 2차 발표심사(10.13.) → 시상(10.27)
* 구체적인 일정은 추후 변동될 수 있음
(포상) 공공 10점, 민간 12점 총 22점
- (공공) 기획재정부‧교육부‧행정안전부 장관상, 인사혁신처 처장상,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상 각 2점 등 총 10점
- (민간) 고용노동부 장관상 6점,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상 2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상 2점,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상 2점 등 총 12점
(혜택) ▴민간부문 100만원 상당의 상금 수여 ▴우수사례 홍보
▴「’24년 청년친화 강소기업」 선정심사 신청 시 가점 등 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