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제43호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에 위치한 용운사지. 문화재 두 점이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다.(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에 위치한 용운사지. 문화재 두 점이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다.(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원주시 지정면 월송리를 지나서 이정표를 보면서 횡성으로 방향을 정하고 운전을 하였다. 이정표를 따라 칠봉유원지를 지나서 계속 가다보니 아스팔트 포장길이 끝나는 막다른 길에 들어섰다. 막다른 도로 끝에서 뜻밖에 아담한 석탑과 부처상을 발견하였다. 용운사지는 원주시 호저면 용곡리 402-1에 위치한 절터로 규모는 알 수 없으나 문화재 두 점이 크게 훼손되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용운사지 삼층석탑. 고려 전기 작품으로 신라의 석탑 양식을 계승하였다.                                                                                                                   (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용운사지 삼층석탑. 고려 전기 작품으로 신라의 석탑 양식을 계승하였다.                                                                                                                   (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안내사료에 따르면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용운사지 삼층석탑은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신라의 석탑 양식을 계승하였다. 탑은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말기의 섬세함과 고려 초기의 화려함을 고루 갖추고 있다. 탑의 윗부분 몸돌은 일층 몸돌 높이에 비하여 크게 줄어있고, 탑의 윗부분에는 머리 장식을 얹었다.

 탑의 네 귀퉁이는 약간 올라가 있으며, 풍경 부착용 구멍이 나있다. 받침 부분과 탑의 몸돌이 만나는 곳에 연꽃무늬를 새긴 돌을 끼워 넣었는데, 이것은 고려시대부터 유행했던 독특한 장식 수법이다. 전체적으로 석탑은 일부 석재가 깨져나간 것을 제외하면 비교적 보존이 잘되어 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한 비로자나불의 특징을 따르고 있다.(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한 비로자나불의 특징을 따르고 있다.(사진촬영 : 서홍렬 기자)

 석탑의 우측 옆에 자리잡고 있는 불상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2호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다. 안내사료에 따르면 이 불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한 비로자나불의 특징을 따르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투박하게 표현되었으며,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을 새기었다. 

 손은 가슴에 모아 오른손을 위로, 왼손을 아래로 하여 왼손의 둘째 손가락을 오른손이 감싸쥐고 있다. 이는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상이 가지는 특징으로, 이런 손 모양을 지권인(智拳印-부처가 결하는 수인의 하나)이라고 한다.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사각형으로, 큰 연꽃이 위·아래에 조각되어 있다. 

 1999년 광배가 발견되어 완전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투박한 얼굴, 머리가 크고 목이 짧아 움츠린 듯한 몸, 자연스럽지 못한 옷 주름 등에서 고려 전기 불상의 특징을 보인다. 2019년 발굴조사 결과 용곡사(龍曲寺)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용운사(龍雲寺)의 옛 이름이 용곡사였음을 알 수 있다. 용운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보존상태는 매우 훌륭하다. 특히 불상 뒤에 배치한 광배의 조각을 살펴보면 석재 조각기법이 매우 훌륭함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야외에 위치한 석조 문화재는 대부분 화강암으로 조각되어 오랜 세월이 흘러도 비교적 보존상태가 우수하다. 유럽지역 조각품들이 대부분 대리석재로 조성되어 오늘날 산업사회에서 발생한 산성비의 영향으로 상당수가 훼손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특정 지역에 대리석재가 생산되고 있지만, 대부분 야외 석조물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석재로 조성되어 산성비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오늘날까지 온전히 보존된 문화재들이 많다. 이는 매우 다행스런 것이며, 우리 모두 주변의 문화재에 관심을 갖고 보존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